표본조사
- 전체가 아닌 일부 표본을 조사하는 방법이다.
대표성
- 모집단에서 무작위로 추출한 표본은 모집단의 대표성을 띄어야 한다.
표본의 무작위 추출
- 모집단에 속한 대상들이 표본에 뽑힐 확률이 모두 동일한 것이어야 한다.
- 표본을 뽑을 때 표본을 뽑는 사람의 판단이나 편리함이 전혀 고려되지 않아야 한다.
- 뽑기에 편리한, 주로 가까이에 있는 대상을 표본으로 추출한 것이 편의표본이다.
질문과 응답항목
- 질문에 미리 어떤 가치 판단을 깔아놓고 답을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질 좋은 질문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.
- 어떤 응답항목에 대한 응답비율을 높이려는 조사자의 의도가 개입되어서는 안된다.
조사결과의 해석
- 조사결과의 확대해석도 일반인들이 조사결과를 대할 때 경계해야 한다.
- 왜곡된 정보를 주고 받지 않으려면 조사 결과에 대한 행간을 파악해야 한다.
- 표본이 적절한가에 대한 것도 생각해야 한다.
- 모집단의 정의, 표집방법, 응답률, 표본의 크기 등에 있어 표본의 대표성이 유지되는지 체크해야 한다.
오늘의 한 줄 : 말에 따라 의도가 보인다.
출처 : SK 동반성장 아카데미, 빅데이터가 별건가 알고 보면 쉬운 통계상식, 「믿음과 불신 사이 : 여론조사 올바로 이해하기」
'공부 > 통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통계상식] 비교와 어림수 (0) | 2019.12.09 |
---|---|
[통계상식]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(0) | 2019.12.09 |
[통계상식] 확률의 간단한 개념 (0) | 2019.12.06 |
[통계상식] 시각화의 오용과 남용 (0) | 2019.12.06 |
[통계상식] 평균과 퍼센트의 함정 (0) | 2019.12.06 |